jsp
이번 주에는 JSP(Java Server Pages)와 서블릿(Servlet)에 대해 학습 했습니다. JSP와 서블릿은 자바를 기반으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핵심적인 기술들입니다. 이번 학습을 통해 서버 사이드 스크립팅의 이해를 높이고,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JSP와 서블릿은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술들입니다. 서블릿은 자바를 사용하여 웹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며, HTTP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JSP는 HTML 내에 자바 코드를 삽입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이 두 기술을 함께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html>
<head>
<title>Login Page</title>
</head>
<body>
<form action="loginServlet" method="post">
Username: <input type="text" name="username" />
Password: <input type="password" name="password" />
<input type="submit" value="Login" />
</form>
</body>
</html>
Java✔️이 예시는 간단한 로그인 폼을 보여줍니다. 사용자의 입력은 loginServlet으로 전송되어 처리됩니다.
@WebServlet("/loginServlet")
public class Login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otected void doPos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tring username = request.getParameter("username");
String password = request.getParameter("password");
// 로그인 검증 로직
// ...
response.sendRedirect("homePage.jsp");
}
}
Java✔️여기서 LoginServlet은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을 처리하고, 성공 시 홈페이지로 리디렉션합니다.
이번 주 JSP와 서블릿에 대한 학습을 통해 자바 기반의 웹 개발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었습니다. 이들 기술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JSP와 서블릿을 사용한 개발은 코드의 재사용성과 확장성을 높여주며,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학습과 실습을 통해 더욱 발전된 웹 개발자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테스트 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과 Mockito Spring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테스트 코드에서 실제 빈(Bean)을 사용하지…
들어가며 스프링 기반 프로젝트에서 좋은 설계 구조와 테스트 전략은 소프트웨어 품질과 유지보수성에 직결됩니다. 최근 학습한…
들어가며 코드를 작성할 때 종종 "이 로직을 어떻게 단순하고 읽기 쉽게 표현할 수 있을까?" 고민하게…
HTTP 상태코드란 무엇인가? HTTP 상태코드(HTTP Status Code)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 결과를 수치화된 코드로 나타내는…
HTTP란 무엇인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입니다. 우리가 브라우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