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HTML에는 다양한 태그들이 있습니다.
시맨틱 마크업은 웹 문서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HTML 태그의 사용을 말합니다. 시맨틱이라는 용어는 문서의 의미나 구조를 설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웹 페이지의 접근성이 향상되도록 그 의미에 맞게 마크업을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header> 태그는 HTML 문서에서 웹 페이지의 머리말 입니다.
주로 제목이나 로고 검색 폼 등 이 들어갑니다.
<main> 태그는 웹 페이지의 주요 콘텐츠를 정의하는 태그입니다.
이 태그는 웹 페이지의 중심이 되고, 검색 엔진 및 웹 브라우저가
해당 부분을 주요 콘텐츠로 인식합니다.
<main> 태그는 HTML 페이지에서 한번만 사용해야 합니다.
<footer> 태그는 웹 페이지에서 하단 부분을 정의합니다.
이 태그는 주로 페이지 하단에 위치하며,
사이트 관련 링크나 사이트맵, 연락처 등 보조적인 내용을 담습니다.
<nav> 태그는 내비게이션을 정의하는 태그입니다.
주로 웹 사이트의 메뉴에 쓰입니다.
<section> 태그는 콘텐츠 섹션을 나타냅니다.
주로 콘텐츠들을 그룹화 하는데 사용 됩니다.
섹션은 특정 영역이나 주제를 나타내며,
그 섹션에는 그에 맞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article> 태그는 주로 뉴스 기사나 블로그 글과 같이
독립된 내용을 나타내는데 사용 됩니다.
article 태그를 사용하면 검색엔진 및 웹 브라우저가
해당 부분을 독립된 콘텐츠로 인식하게 됩니다.
해당 콘텐츠의 독립성과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aside> 태그는 주로 사이드바, 광고, 사이트의 부가 정보 등 과 같은
내용을 나타냅니다. 웹 페이지의 주요 내용과는 관련이 적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시맨틱 마크업은 웹 표준을 준수하고 검색 엔진 최적화에 도움을 주므로,
웹 개발자들은 가능한 시맨틱 마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 네트워크란? "인터넷(Internet)"이라는 단어는 "인터네트워크(Internetwork)"의 줄임말입니다. 즉, 여러 개의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되어 전 세계적으로 하나의…
스프링 빈(Spring Bean)과 IoC 컨테이너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 철학은 IoC(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를 통해 객체(빈,…
스프링 빈이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스프링 빈(Bean)"이란, IoC(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가 직접 관리하는 객체를 말합니다. @Component,…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이란? 프로그램을 개발하다 보면, 여러 클래스나 객체들은 서로 필요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관계를…
컴포넌트 스캔이란? 컴포넌트 스캔(Component Scan)은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특정 패키지를 탐색하면서, 스캔 대상에 해당하는 클래스를 찾아…
스프링 빈이란? 스프링 빈(Spring Bean)은 스프링 IoC(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의미합니다. 간단히…